티스토리 뷰
* 디지털 환경에 대한 다른 학자들의 연구 결과는 어떠한지를 비롯해서
우리의 감정과 수면 시간, 집중력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유아와 청소년들에게는 특히 어떤 영향을 주는지,
이 모든 것들에 대해 우리가 실질적으로 알고 있는 것은 무엇인지,
추측과 추론이 아닌 실제로 검증된 사실을 살펴보고 싶었다.
3장
몸이 되어버린 신종 모르핀, 휴대전화
“잡스는 왜 자기 아이의 휴대전화 사용은 제한했을까?”
* 우리는 하루에 2,600번 이상 휴대전화를 만지며
깨어있는 동안에는 평균 10분에 한 번씩 들여다본다.
깨어 있는 시간도 부족해서 3명 중 1명은 한밤중에도 최소 한 번은 휴대전화를 들여다본다.
* 도파민의 가장 중요한 임무는 기분을 좋게 만드는게 아니라
어디에 집중해야 할지 선택하게 만드는 것이다.
도파민은 우리의 엔진이다.
* 뇌에는 도파민을 생성하는 세포가 있는데, 이 세포들은 오로지 새로운 것에만 반응한다.
* SNS 개발자는 보상 시스템을 자세히 연구해 뇌가 불확실한 결과를 얼마나 사랑하는지,
얼마나 자주 보상을 해줘야 하는지에 대해 잘 알고 있다.
* 30대 미국인인 저스틴 로젠스타인은 페이스북 사용을 자제하고 스탭챗은 삭제하기로 했다.
그는 이 앱들이 헤로인과 맞먹을 정도로 중독성 있다고 판단했다.
로젠스타인은 바로 페이스북의 '좋아요' 기능을 만든 장본인이기 때문에
그의 행동은 더욱 흥미롭다.
* 스티브 잡스의 10대 자녀들은 태블릿 PC 사용 시간을 엄격하게 통제받았다.
잡스는 기술 개발에서뿐만 아니라 그 기술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다른 사람들보다 한발 엎서서 알고 있었던 듯하다.
* 당신의 뇌는 문자 메시지에 도파민을 분비하여 보상을 제공했고
그 결과 휴대전화를 보고 싶다는 강렬한 충동에 사로잡힌 것이다.
뇌는 새로운 정보, 특히 감정적으로 흥분되거나 위험과 관련 있는 내용을 추구한다.
또한 당신의 이야기를 적은 피드에 다른 사람들이 어떻게 반응했는지,
즉 '좋아요'를 눌렀는지에 집중하게 만든다.
4장 집중력을 빼앗긴 시대, 똑똑한 뇌 사용법
“우리 뇌는 결코 우리 편이 아니다”
* 동시에 여러 일들을 하려고 하지만 결국 과제 사이를 뛰어다니고만 있을 때,
뇌는 그다지 효율적으로 작동하지 못한다.
* 대학생 500명을 대상으로 기억력과 집중력 테스트를 했는데,
실험실 바깥에 휴대전화를 둔 학생들이
무음으로 바꿔서 주머니에 넣은 학생들보다 더 좋은 결과를 얻었다.
* 뇌가 휴대전화의 유혹에 맞서 싸우는 동안 다른 엄무를 수행할 능력은 감소한다.
* 강연을 듣는 동안 일부에게는 종이와 펜으로 내용을 정리하게 하고,
나머지는 컴퓨터로 정리하라고 지시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종이에 적은 사람들이 강연 내용을 더 잘 이해한 것으로 나타났다.
* 식탁에 휴대전화를 두고 있으면 다른 사람과 어울리는 게 따분하다고 생각하게 된다.
5장 우리의 시간을 훔쳐가는 강력한 용의자
“휴대전화 사용 시간과 건강”
* 사우디아라비아의 연구자들이 1,000여 명을 추적한 결과,
휴대전화 의존도와 우울증 사이에 강력한 상관관계가 관찰되었으며
'거정스러울 정도'라고 평가했다.
오스트리아에서는 우울증을 겪는 사람들이
휴대전화를 극도로 빈번하게 사용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 휴대전화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침실에 휴대전화가 있다는 사실만으로도
수면에 방해를 받을 수 있다.
6장 SNS를 끊고 기분이 나아진 사람들
“디지털 사용 시간이 짧을수록 기분이 나아지는 이유”
* 실제로 SNS를 빈번히 사용하는 사람들이 외로움을 타는 것으로 나타났다.
* 강하고 장기적인 스트레스 상황에서 뇌는 기분을 우울하게 만들어
위험으로 가득 찬 세상에서 몸을 사리도록 만든다.
* 자신감이 낮고 불안정한 사람은 SNS 때문에 우울해질 위험이 급격하게 상승한다.
왜냐하면 이런 사람들은 다른 사람과 자신을 자주 비교하기 때문이다.
모든 사람이 살면서 기본적으로 불안정하다고 느끼고,
주변과 비교하며 불안해하는 시기가 있들까? 바로 10대 시절이 그렇다.
* 휴대전화와 SNS의 영향으로 10대들이 더욱 자기중심적이며
사회적 지위와 외모에 집착하게 되었고,
그 결과 자신만 들보고 다른 사람에게는 무신경하게 되었다고 볼 수 있을까?
* 덴마크에서 약 1,000명을 대상으로 SNS 사용을 중단시키는 실험을 했더니,
삶에 더 만족해했고 스트레스를 덜 받았으며 주변 사람들과 '면대면'으로 보내는 시간도 늘어났다.
7장 청소년 우울증과 휴대전화
“교실에서 휴대전화가 사라지면 무슨 일이 일어날까?”
* 나이가 어릴수록 더 오랫동안 휴대전화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0대는 성인보다 더 많이 휴대전화를 사용했으며 10대 초반의 사용 빈도가 가장 높았다.
* 아동과 청소년 연구 조사 결과에서 스크린 타임이 하루에 2시간을 초과할 경우
우울증에 걸릴 위험이 증가했다.
스크린 타임이 길어질수록 위험성도 더 커졌다.
8장
변화를 원한다면, 몸부터 움직여라
“운동을 하면 왜 더 집중하게 될까?”
* 스트레스나 불안 장애가 있는 환자들에게 신체 활동이 고통을 줄여준다고 하면
많은 사람이 놀란다.
* 모든 종류의 신체활동이 우리의 정신 능력에 좋은 영향을 미쳤다.
산책, 요가, 달리기, 근육운동 .. 전부 다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 뇌의 관점에서 보면, 일주일에 2시간 몸을 움직이고 나면
어느 시점에선가 효과가 나ㅏ나기 시작한다.
* 고대 유골의 넓적다리뼈와 정강이뼈를 분석해본 결과,
당시 평균 다리 조직, 질량, 강도가 오늘날 장거리 달리기 선수에 버금간다고 한다.
'독서감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앙드레 지드의 좁은문 (5) | 2022.08.23 |
---|---|
주식회사의 유래 (2) | 2022.08.22 |
수레바퀴 아래서 - 헤르만 헤세 (3) | 2022.08.18 |
술의 유래 (3) | 2022.08.16 |
이어령의 마지막 수업 (4) | 2022.08.13 |
- Total
- Today
- Yesterday
- 코코넛 오일의 기적
- 독서
- 이지성
- 회복탄력성
- 유래를 알면
- 유래 통찰
- 백만불짜리 습관
- 안드레아스 모리츠
- 브루스 파이프
- 유대인
- 미국 주식
- 인생을 대하는 우리의 자세
- 중독
- 퓨처셀프
- 스마트폰 중독
- 박웅현
- 유래
- 삼성전자를 사야 하는 이유
- 하비 다이아몬드
- 다이어트 불변의 법칙
- eat or be eaten
- 인문학
- 암은 병이 아니다
- 당신이 옳다
- 자녀
- 아날로그 교육
- 통찰이 생긴다
- 교육
- 정혜신
- 유래를 알면 통찰이 생긴다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