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2. 창
* 이루고자 하는 마음, 달성하고자 하는 의지가 삶의 나침반이 되고 길잡이가 되어,
그 누구도 쉽게 따라 할 수 없는 창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창이 탄생할 때까지, 숱한 좌절과 실패에도 포기하지 않게 만드는 힘이 혼이다.
혼을 지지대 삼으면 쉼 없는 노력이 가능하고,
그 노력이 결국 창을 꽃피운다.
* 스티브 잡스는 "창조성이란 서로 다른 것들을 연결하는 것"이라고 했다.
피아노 건반이 수동 타자기를 낳았고, 유원지의 놀이기구가 에스컬레이터로 발전한 것처럼 말이다.
* 스필버그는 "가장 위대한 업적은 '왜'라는 아이 같은 호기심에서 탄생한다.
마음속의 어린아이를 포기하지 말라"라고 조언했다.
통
* 왓슨와이어트가 CEO들에게 "과거로 되돌아가서 한 가지를 바꾸고 싶다면
그것은 무엇인가?"라고 질문을 했을 때,
가장 많은 대다븐 "직원들과 의사소통하는 방법"이었다.
* 성공학의 대가 브라이언 트레이시에 따르면
"식욕이나 수면욕처럼 인정의 욕구 역시 계속해서
채워줘야 하는 속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다른 사람을 인정해주는 사람은 어디를 가든 환영받는다.
* 경청하기 어려운 가장 큰 이유는 말하고자 하는
욕구 때문일 것이다.
* 누군가가 내게 이야기를 하는 이유는 대화를 나누려기보다
그저 털어놓고 싶어서일 때가 많다는 점을 알아야 한다.
대부분의 사람에게 대화는 자신의 마음속에 잇는 것을 털어놓는,
일종의 카타르시스 작업이라고 설명한다.
* 당신이 통을 꿈꾼다면 '내'가 아닌 '상대'에게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상대에게 내재된 가치를 꿰뚫어 보고 그를 이해하려고 노력할 때
진정한 통이 가능한 것이다.
* 한국 기업의 임원들이 인정과 칭찬에 약하다는 것은
통에 있어 결정적인 걸림돌이다.
더욱이 부정적인 피드백을 자주 사용한다는 것은 조직 분위기를 해친다는 점에서,
치명적인 단점이라 할 수 있다.
* 첫번째 그룹은 업무 성과가 좋지 않다는 부정적인 평가를 받았지만,
평가자는 미소나 끄덕임과 같은 긍정적인 감정 신호를 보여줬다.
반면 두 번째 그룹은 업무 성과가 좋다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지만,
평가자가 눈살을 찌푸리며 비판적인 태도를 보였다.
두 그룹의 반응은 어떻게 달랐을까?
놀랍게도 긍정적인 평가를 받은 두 번째 그룹이 부정적인 평가를 받은 첫 번째 그룹보다
자신의 성과에 대해 더 불만스럽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메시지 자체 보다 전달 방법이 더 중요한 것이다.
* 가장 성과가 좋은 리더들은 성과가 중간 정도인 리더들보다
부하들을 평균 3배 정도 더 자주 웃게 만들었다.
좋은 분위기 속에서 사람들은 정보를 효과적으로 받아들이고
창조적으로 반응했다.
- Total
- Today
- Yesterday
- 유래를 알면 통찰이 생긴다
- 안드레아스 모리츠
- 유래 통찰
- 인문학
- 통찰이 생긴다
- 암은 병이 아니다
- 독서
- 당신이 옳다
- 코코넛 오일의 기적
- 미국 주식
- 하비 다이아몬드
- 인생을 대하는 우리의 자세
- 삼성전자를 사야 하는 이유
- 브루스 파이프
- 박웅현
- 중독
- 유래를 알면
- 자녀
- 유대인
- 백만불짜리 습관
- 정혜신
- 이지성
- 다이어트 불변의 법칙
- eat or be eaten
- 스마트폰 중독
- 유래
- 교육
- 아날로그 교육
- 퓨처셀프
- 회복탄력성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