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01. 스크린 타임 : 너무 많고, 이르지 않은가?

 

* 일반적인 미국의 8~18세 아이들은 비디오 게임을 하거나

컴퓨터, 휴대전화, 텔레비전을 보는 데 하룽 7시간 이상을 보낸다.

 

* 하루 2시간의 스크린 타임이 일반적으로 적당한 양이다. 


02. 사회성 있는 아이로 키우기

* 요즘 아이들은 이룰 수 없는 기대 이상의 것들을 찾고 있어요!

아이들은 자극적인 게임이나 영화에 익숙해져 있어요.

아이들은 다음 장면이 자신들의 마음을 사로잡을 정도로 자극적이길 원해요.

그런 장면이 나오지 않으면 그냥 돌아서 버리지요. 

대부분의 아이들이 교회에서 주의를 집중하는 것을 힘들어해요. 

저는 어떤 아이들이 스크린 타임을 많이 갖는지 알 수 있어요.

그 아이들은 주의를 집중해서 다른 사람들의 말을 경청하는 데 서툴기 때문에

특별히 강한 지도가 필요해요.

 

* 가정은 사랑, 감사, 분노 조절, 사과, 주의 집중 이 5가지 사회성 기술을 

익실 수 있는 훈련의 장소다. 


03. 사회성 기술 #1 사랑

*  아이들이 사용하는 언어를 바로잡아 줄 때 어떤 것이 적당하고 

어떤 것이 적당하지 않은 말인지 가르쳐 주어야 한다. 

그러면 아이들은 가르쳐 준 대로 말한다.

 

* 무엇보다 직접적인 눈 맞춤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문자를 통해 아이의 눈을 볼 수는 없다. 

휴대전화를 통해 아이를 안아 줄 수는 없다. 

눈은 아이의 영혼을 보게 하는 창문인 만큼 아이의 눈을 자주 들여다보라.

 

* 이야기를 나누는 것은 가족 간의 관계를 더 깊게 해 준다. 

더 이상 전자기기를 사용하느라 가족과 함께 이야기를 나누는 시간을 놓치지 말라.

그 모든 이야기는 분명 당신의 사랑과 더불어 자녀들의 마음속에 깊이 기억될 것이다. 


04. 사회성 기술 #2 감사

* 아이가 원하는 모든 것을 해주는 것은 아이에게 매우 해로운 일이 된다. 

실제 세상은 그렇지 않기 때문이다. 

 

* 살아가면서 원하는 것을 얻으려면 기다려야 한다.

이 사실을 아이들에게 가르치는 일은 엄청나게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05. 사회성 기술 #3 분노 조절

 

* 자리 피하기, 100까지 큰 소리로 세기, 밖에서 잠시 걷기 등은 

화에 대한 성숙한 반응이며, 이렇게 하면 아이가 진정될 수 있고

건전한 방식으로 화를 풀어 나가게 된다. 


06. 사회성 기술 #4 사과

* 우리는 아이들에게 현실 세계에서 사과하는 방법을 가르쳐야 한다. 

그 최선의 방법은 정식으로 사과하는 모습을 보여 주는 것이다. 

만약 아빠가 엄마한테 소리를 지른 일에 대해서 사과하고, 

엄마가 아빠를 용서해 주면서 안아 주는 모습을 본다면, 아이는 깊은 깨달음을 얻을 것이다. 

 

* 사과는 잘못에 대한 책임을 인정하는 것에서 시작된다고 자녀에게 가르치라. 

아이들은 보통 잘못을 저지르면 다른 사람이나(“쟤가 잘못한 거예요!”) 사물을(“그냥 깨졌어요!”) 탓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어린 나이일지라도 책임을 인정하는 것을 배워야 한다.

 

* 황금률은 남에게 대접을 받고자 하는 대로 남을 대접하라는 가르침을 이른다. 

아이들은 모두 이 황금률을 배워야 한다. 

왜냐하면, 이것은 다른 사람을 어떻게 대해야 하는지를 배우는 기준이 되기 때문이다.

 

* 큰 아이들에게 사과를 가르치는 가장 좋은 방법은 부모가 직접 모범을 보여 주는 것이라고 생각하게 되었다. 

부모가 자신이 했던 심한 말과 공정하지 못한 대처에 대해 아이들에게 사과한다면, 

그것은 가장 효과적인 가르침이 될 것이다. 


사회성 기술 #5 주의 

 

* 어떻게 2000년 이래로 보통 사람의 주의 집중 시간이 40%나 떨어졌을까?

그 이유 중 하나는 바로 전자기기의 사용 때문이다.

 

* 계속해서 디지털의 자극을 받으면 아이들은 집중하는 데 어려움을 겪게 된다. 

스스로 통제하거나 건강한 선택을 하기 힘들어하는 아이들에게는 더 큰 문제가 된다. 

 

 

* 니콜라스 카는 그의 저서 『생각하지 않는 사람들 : 인터넷이 우리의 뇌 구조를 바꾸고 있다』에서 이렇게 말한다. 

“인터넷을 할 때 우리는 피상적인 읽기, 급하고 산만한 생각, 

그리고 깊이 없는 배움을 촉진하는 환경으로 들어가는 것이다. 

 

* 연구자들은 하루에 2시간 이상 스크린 타임을 갖는 아이들이 집중력에 문제가 생길 비율이 

평균보다 1.5-2배가량 더 높다는 것을 알아냈다. 

 

* 잦은 변화, 계속 주어지는 보상, 새로운 단계, 점수 따기 등 두뇌에 도파민을 상승하게 하는 것들로 가득 찬 게임에는 

집중을 잘한다. 아이의 두뇌가 그런 식의 빠른 속도에 익숙해져 성장한다면, 

아이는 현실 세계가 전혀 감동스럽지 않고 지루하게만 느껴질 것이다.

 

* 다중 작업은 일을 대충 하는 사람을 만들어 낸다. 

 

* 연구자들은 일을 하다가 방해를 받으면 원래 하던 일에 다시 집중하는 데 평균 25분이 걸린다고 말한다.

 

 

댓글